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오늘날 우리의 모든 것을 변화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XR 분야에서의 다양한 시각 정보 처리 및 표현 기술은 기존에 경험하지 못했던 사용자 실감형 경험을 가능하게 합니다. 사실 이러한 가상 세계 기술도 초기에는 시각, 청각적 자극에 의존했으며, ‘발전된 영상’일 뿐이라는 비판을 피하지 못했는데요. 1992년, ‘메타버스’란 용어는 소설 《스노우 크래쉬》를 통해 세상에 등장했으며, 메타버스 서비스 로블록스, 제페토가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하지만 이들 서비스의 구동은 여전히 PC나 스마트폰에서 개인의 캐릭터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사용자가 가상세계에서 실제로 움직이고 느끼는 수준의, ‘이상’과는 거리가 있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pixabay
현실과 같은 가상세계를 구현하려면 XR 기기의 ‘상호작용’ 기능의 발전은 필수적입니다. 몸을 움직이면 가상세계 속의 ‘나’도 똑같이 움직이고, 가상세계에서 느끼는 감각을 현실에서도 그대로 느껴야 한다는 이야기죠.
이미지 출처: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
2018년 개봉한 스티븐 스필버그(Steven Spielberg) 감독의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Ready Player One)’은 XR게임과 콘텐츠 시장의 미래를 가장 잘 보여준 영화로 꼽힙니다. 영화상에서는 다소 암울하게 그려진 근 미래에 **가상현실(VR)을 통해 새로운 세상이 펼쳐지고, 뭐든지 할 수 있는 그곳을 ‘오아시스’**라고 부릅니다. 오아시스에서는 사람의 오감, 즉,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신호를 디지털 가상현실 신호로 대체함으로써 사람들이 게임 속을 현실처럼 느끼며 살아갑니다. 우리의 뇌가 원래 가지고 있는 통신 시스템, 즉 오감을 통해서 뇌와 통신하는 것이죠.
주인공 ‘웨이드’는 친척 집에 얹혀 살며 특별한 직업도 없고 미래도 없는, 그저 그런 소년이지만 오아시스에서는 캐릭터 ‘파시발’로 변신하여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할 수 있습니다. 실제 현실에서의 웨이드의 동작이 가상현실의 파시발에 고스란히 반영되고, 반대로 가상현실에서 움직이고자 하면 실제 현실에서도 움직여야 합니다. 그래서 웨이드는 오아시스에서 빠르게 달리기 위해 실제로 트레드밀 위를 열심히 달리고, 파시발이 오아시스에서 맞으면 똑같이 고통을 느끼죠.
영화는 우리의 상상력을 화면에 보여주는 우리 뇌 창의력의 산물입니다. 그런데 이처럼 영화에 나오는 모습과 우리의 현실에는 얼마나 큰 간극이 존재할까요? 뇌 질환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오늘의 현실은 공상 과학 영화 속 즉각적인 학습, 아바타 조종 같은 미래가 아직 먼 일이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려줍니다. 그 이유는 우리가 아직 뇌 회로의 동작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며, 그만큼 뇌 회로의 동작을 밝히는 건 매우 어려운 문제입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그 이해가 아주 멀리 있지도 않습니다. 우리는 높은 몰입감(Immersive), 상호작용(Interactive), 지능화(Intelligence)의 “3I” 요소를 통해 높은 현실감과 사용자 경험의 영역을 확장시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으며, 오감을 자극하는 기술들이 대거 개발되고, 상용화되어 새로운 초실감 시대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의 오아시스 속에서 누군가 파시발을 만지면 현실세계의 수트가 파란 빛을 발하며 웨이드에게 신호를 전달합니다. 가상세계에서 물건에 부딪치면 조끼 모양의 슈트를 통해 아픔이 전해지는 장면이 나오기도 하죠. 현실에서는 **국내 스타트업 비햅틱스(Bhaptics)의 ‘택트슈트(Tactsuit) X40’**가 바로 이러한 경험을 가능하게 합니다. 택트슈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햅틱(haptic) 기술의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는데요. 햅틱이란 전자기기가 생성하는 촉각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기술로 정의되는데, 쉽게 스마트폰에서 울리는 진동 알림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햅틱의 역할 덕분에 짧은 수신은 알림이며 긴 수신음은 전화라는 것을 주머니 속에서 느낄 수 있게 되었죠. 각각의 울림과 진동은 고유한 의미를 가지며, 이는 사용자 경험의 핵심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이에 더해 더 세밀하고 전신에 걸친 피드백을 제공하며, 가상현실 속 보다 더 몰입적인 경험을 목표로 햅틱 기술을 응용하고, 발전시킨 것이 바로 비햅틱스의 택트슈트입니다.